분류 전체보기 (28) 썸네일형 리스트형 회사에서의 리더십에 대한 고찰... 팀장 따리도 못 해본 쩌리 주제에 이런 글 쓰기도 민망하지만, 그간 겪었던 다양한 리더들에 대해 정리할 겸 한 바닥 써 본다. 나중에 또 성장했을때 이 글을 다시 보면, 또 다른 느낌이겠지.그래도 4-6명 정도 관리한 연구그룹의 PM 을 해 보면서 느낀 것도 많다. 일단, 사람을 관리하는 건 쉽지 않다. 하지만 내가 겪었던 팔로워들은 아마 국내에서 탑 수준으로 관리하기 쉬운 인재들이었을 것이다. 그래도 대기업에, 선별되어 뽑힌 능력자들이었으니까. 적어도 일하기 싫어서 미적대거나, 세세하게 일을 시키지 않으면 일을 못하거나 할 걱정은 없는 이들이었으니.그럼에도, 사람을 이끄는 건 쉽지 않다.그럼에도, 리더에게는 더 높은 역량을 요구할 수 밖에 없다. 그러지 못한 리더가 끼치는 해악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1.. 내가 결혼을 못하는 이유? 더보기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619 "챗GPT야, 나를 그려줘"...새로운 챌린지 화제 - AI타임스\'챗GPT\'에 자신의 그림을 그려달라는 챌린지가 화제다. 챗봇이 대화를 통해 파악한 점을 어떻게 상상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는 내용이다.케빈 와일 오픈AI 최고 제품책임자(CPO)는 지난 19www.aitimes.com 이게 뭐라고 챌린지까지 될까, 랄까, 기사 이전에 들어본 적도 없으니까 그다지 유행하지도 않았는데 만들어진 챌린지일지도 모른다. 뭐, 그렇다고 내가 해외 커뮤니티를 하는 것도 아닌데 그냥 국내에서는 유행하지 않았을 뿐일지도 모르지. 근데 그게 뭐가 중요한가. 재미있으면 해보면 되는 거지. 근데 솔직히, 날 .. 강화학습이 창의력? 당연한 소리 아닌가... https://brunch.co.kr/@aichaemun/194 강화학습이 창의력을 억제한다?RLVR이 대형 언어 모델에 미치는 영향 | 강화학습의 한계와 창의성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은 인공지능(AI) 모델이 특정 행동을 수행할 때 보상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그러나 brunch.co.kr먼저 강화학습이 뭔지부터.강화학습은, 강화를 하는 학습 방법이다. 정답을 찾으면 그 경로를 강화하는 학습이다. 그래서 학습할 때 탐색 과정이 있으며, 탐색 결과에 보상 (reward) 가 있으며, 이 보상을 바탕으로 경로와 행동 선택을 강화한다. 아이가 착한짓을 하면 칭찬해주고, 나쁜 짓을 하면 혼내는 거랑 같은 메커니즘이다. 사람이 뭔가 시도해서 잘 되면 그 방식을 기.. 회사에서 사람을 사귄다는 것... https://brunch.co.kr/@6ae05996def640f/224 13화 회사후배와는 정을 주지 마세요후배들한테 상처받은 지인에 대한 조언 | '요즘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잘해줬던 후배들이 많았는데. 지점을 옮겼더니 연락한번 없네요' - 지인 (2025.5.3) 오늘 갑자기 안부연락을 한 예전 회brunch.co.kr만화에서는 가족보다도 끈끈한 우정이란 게 있다. 하지만 우리가 그런 걸 보는 건 그게 판타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는 그렇지 않다. 저마다 자신의 삶이 있고, 어떤 시점에서는 같이 길을 가더라도 또 어떤 시점에서는 서로 떠나게 되기 때문이다.서운할 것도 아쉬울 것도 없다. 그렇게 우리는 또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날테니까.그런데 떠날 게 아쉬워 .. 지브리 프사, 정말로 필요 없었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2918590004075 지브리 프사 꼭 필요했나 | 한국일보한동안 카카오톡 지인들의 프로필 사진 대다수가 온통 지브리풍이었다. 챗GPT에 사진을 올리면 지브리 스튜디오 그림체로 바꿔주는 서비스가 세계적www.hankookilbo.com현대사회를 정면으로 부정하신 기자 분의 패기에 경의를.농담이고.난 이 기사에 반대하지 않는다. 동의한다. 하지만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어 그 부분을 보충하려고 가져왔다. 먼저.현대 사회는 '가치'를 가늠하는 걸 포기했다. '가격'이 있는 곳에 '가치'가 있다고 보기로 했다. 왜냐하면, 가치란 너무나 측정하기 어려운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 주체가 하.. AI 쇼핑, 나올 줄 알았다. https://v.daum.net/v/20250429121903594 "이젠 무서울 지경" 챗GPT 쓰다가 깜짝…'야심' 드러낸 오픈AI [송영찬의 실밸포커스]오픈AI가 온라인 쇼핑 시장 장악 야심을 드러냈다. 지난 1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가 스스로 쇼핑을 하는 걸 공개한 데 이어 챗GPT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링크를 안내v.daum.net개인적으로 쇼핑하면서 불편한 게 2가지 있었다. 하나는 내가 원하는 물건이 검색이 안 될때. 정형화된 스팩으로 설명할 수 없거나 분류가 제대로 안 되어있을 때이다. 전자의 대표적인 물건이 가구였고, 후자의 대표적인 물건이 휴대폰이었다. 일단 휴대폰은 가격 표시가 다 제멋대로라...또 하나는 내가 뭘 원하는지가 불명확할 때. 예를 들면, .. RPG 캐릭터 이미지 만들어보기 실험 요즘 이미지 생성 AI 도 많은데, 이걸로 게임을 만들어볼 수 있을까 생각해보고 있다. 이를테면, RPG나 비주얼 노블 같은 게임에서 캐릭터끼리 대화를 하는 장면같은 걸 만들 수 있을까 하면, 가장 중요한 건 캐릭터 그림의 일관성을 지키며 표정 등을 변화시키는 게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캐릭터 이미지 만드는 용도로 아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일단 무료라는 게 장점. 다른 사람들이 올린 이미지를 통해 프롬프트를 공부해 볼 수도 있다. https://www.ptsearch.info/home/ Prompt Search www.ptsearch.info 다만 이미지 기반으로 추가 이미지를 생성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며 이미지를 변형하는 부분은 썩 성능이 안 나와서... 별도의 서비스를 찾아보았다. 한 번에 최.. 혁신이란, 비용 대비 높은 수익률을 일으키는 게 아니다. https://m.mk.co.kr/news/it/11291276 “요즘 것들은 자기 편한 것만 챙겨”...도전없는 회사에는 도전하는 MZ 없다 - 매일경제이정동 서울대 교수 인터뷰 대한민국號 벼랑 끝 상황 ‘가슴 뛰는 간절한 아이템’ 더 이상 안주머니에 없어 정체된 국내 혁신 생태계 열개의 담대한 질문 던져 메기의 역할 될거라 기대www.mk.co.kr 내가 하려는 말과 완전히 일치하는 건 아니지만, 어느 정도 맥락이 닿아있는 것 같아서 가져와본다. 최근 회사 내에서 현타가 오는 거 하나가 있다. 회사에 비전이 없다. 방향이 없다. 그리고 기술도 없다. 그리고, 일단 연구원인데 현장 끌려나가는게 짜증난다. 다만, 내가 짜증나는 건 짜증나는거고... 나름 IT계에서 상당한 입지의 회사이며, AI에서도 나름.. 이전 1 2 3 4 다음